AWS Management
AWS Management
Amazon CloudWatch
- AWS 클라우드 리소스와 AWS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
-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변수인 지표를 수집하고 추적 가능
- 사용중인 모든 AWS 서비스에 대한 지표가 자동적으로 표시디며, 사용자 지정 대시보드를 통해 사용자 지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표를 표시하고 지정 집합 표시 가능
- 지표는 Cloudwatch에 게시된 시간 순서별 데이터 요소 세트이며, 모니터링할 변수 ( 가령 EC2의 CPU 사용량은 EC2가 제공하는 하나의 지표 )
- 기본 모니터링과 세부 모니터링으로 나뉘며, 가각 5분과 1분 주기로 수집함
- 기본 모니터링은 자동활성화이지만, 세부 모니터링은 선택사항
- 기본적으로 CPU, Network, Disk, Status Check 등을 수집 ( Memory 항목이 없음 )
- 지표 데이터의 보존기간
- 기간 60초 미만의 경우, 3시간
- 기간 60초의 경우, 15일
- 기간 300초의 경우 63일
- 기간 3600초의 경우, 455일
- AWS CLI 혹은 API를 이용하여, Cloudwatch에 사용자 정의 지표 게시 가능
- 경보기능을 사용하여 어떤 지표가 일정기간동안 일정값에 도달할 경우 각 서비스가 취해야할 행동을 정의할 수 있음
- 모니터링하기로 선택한 측정치가 정의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하나 이상의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
- EC2의 경우, 경보에 따라, 인스턴스 중비, 복구, 종료, 재부팅 가능
Cloudwatch Agent
- EC2에 Agent를 설치하게 되면 더 많은 시스템 수준 지표를 수집할 수 있음
- 온프레미스 서버 또한 Cloudwatch Agent 사용 가능
- Memory 항목 포함
- Cloudwatch Agent는 로그를 수집할 수 있으며, 후술할 Cloudwatch Logs 기능 사용 가능
Cloudwatch Logs
- EC2( Agent에서 수집된 ), CloudTrail, Route 53, Route 53, VPC flow Log 등 기타 소스에서 발생한 로그 파일을 모니터링, 저장 및 엑세스하는 기능
- Cloudwatch Agent를 사용하여 로그를 수집
- Cloudwatch Log Insights를 사용하여 CloudWatch Logs에서 로그 데이터를 대화식으로 검색해 분석할 수 있음
- Agent는 기본적으로 5초마다 로그 데이터를 전송
Cloudwatch Events
- AWS 각 서비스의 이벤트가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패턴과 일치하거나 일정이 트리거될 경우, 사용자가 월하는 기능을 발동시키도록 하는 기능
- 이번트 소스와 대상으로 나뉨
- 이벤트 소스: AWS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이며, 가령 S3의 경우 오브젝트 등록, 삭제 등을 들 수 있음
- 대상: 이벤트 발생시 해야할 행동을 정의하는 것이며, SNS 전송 혹은 람다, SQS 게시 등을 설정할 수 있음
- 이벤트 소스에 해당하는 규칙이 트리거될 경우 대상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실행시킴
- 이벤트가 시스템에 생성해 둔 규칙과 일치하는 경우, AWS Lambda 함수를 자동으로 호출하고, 해당 이벤트를 Amazon Kinesis 스트림에 전달하고, Amazon SNS 주제를 알림’ having 1=1##
AWS CloudFormation
- 인프라를 관리 간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
- AWS의 리소스를 일일이 설정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의 프로비져닝과 설정을 미리 구성하여 반복작업을 줄이도록 도와주는 역할
- EC2, Auto Scaling Group으로부터 ELB, RDS, S3 등을 사전에 구성하여 한 번의 클릭으로 다수의 서비스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음
- 생성된 리소스 모음은 다른 계정 혹은 다른 리전에 옮겨 사용 가능
Stack
- 하나의 단위로 관리할 수 있는 AWS 리소스들의 모음
- 스택을 생성, 업데이트 또는 삭제하여 리소스 모음을 생성, 업데이트, 삭제가 가능
- 스택에서 실행중인 리소스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스택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데, 이 업데이트된 세트를 변경세트라 칭함
- 스택을 삭제하는 경우 삭제할 스택을 지정하면 해당 스택과 스택 내 모든 리소스를 삭제
- AWS에서 리소스를 삭제할 수 없는 경우 스택이 삭제
- 스택의 리소스 중 하나라도 성공적으로 생성되지 않은 경우 성공적으로 생성한 모든 리소스를 모두 삭제함 ( Automatic rollback on error )
Template
-
스택을 구성하는 AWS 리소스를 JSON 혹은 YAML 형식으로 선언한 텍스트 파일
-
템플릿은 로컬 혹은 S3에 저장되며, 템플릿을 불러올 때 S3 bucket을 지정할 수 있음
-
템플릿을 “Designer"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으며, S3 bucket에 저장된 것을 불러와 생성이 가능
Template의 여러 요소
-
Parameter : 선택 섹션, 스택 생성 및 업데이트 시 템플릿에 전달하는 값, 사용자가 선택하는 여러 요소들 ( EC2 유형 - t2.micro 등 )
-
Conditions : 선택 섹션, 조건문, 리소스가 생성되는 조건을 만들어 조건 충족시에만 리소스를 만들 수 있또록 하는 요소
-
Resources : 필수 섹션, CLoudformation에 포함될 리소스
-
Metadata : 선택 섹션, 템플릿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임의의 JSON, YAML 객체
-
Mappings : 선택 센셕, 프로그래밍 언어로 따지만 ‘Switch’ 조건문에 해당하며, ‘키’에 해당하는 값 세트를 생성하고 해당하는 키가 있으면 값 세트에 맞춰 리소를 생성
AWS CloudTrail
- CloudTrail의 이벤트는 AWS 계정에서의 활동 기록을 의미
- 용자, 역할 또는 CloudTrail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한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, AWS Management 콘솔, AWS SDK, 명령줄 도구 및 기타 AWS 서비스를 통해 수행되는 API 계정 활동과 비 API 계정 활동 모두에 대한 기록을 제공
- CloudTrail에는 로깅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의 이벤트가 존재
- 관리 이벤트 : 기본적으로 로깅
- 데이터 이벤트 : 기본적으로 로깅을 하지 않음
- 관리 이벤트와 데이터 이벤트 모두 동일한 CloudTrail JSON 로그 형식을 사용
관리 이벤트
- AWS 계정의 리소스에 대해 수행되는 관리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, 이를 제어 영역 작업이라 함
- 보안 구성
- 디바이스 등록
- 데이터 라우팅 규칙 구성
- 로깅 설정
데이터 이벤트
- 데이터 이벤트는 리소스 상에서, 또는 리소스 내에서 수행되는 리소스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, 이를 데이터 영역 작업이라 함
- Amazon S3 객체 수준 API활동
- AWS Lambda 함수 실행 활동
Insights events
- CloudTrail Insights 이벤트는 AWS 계정에서 비정상적인 활동을 캡처
- Insights events을 활성화하고 CloudTrail가 비정상적인 활동을 감지한 경우, Insights events는 다른 폴더나 트레일에 대한 대상 S3 버킷의 접두사에 로깅
- Insights events은 계정 API 사용량 변화가 계정의 일반적인 사용 패턴과 크게 다르다는 것을 CloudTrail가 감지한 경우에만 로깅
CloudTrail 이벤트 기록
- CloudTrail 이벤트 기록은 CloudTrail 이벤트에 대한 지난 90일간의 기록으로 확인, 검색 및 다운로드가 가능
- AWS Management 콘솔, AWS SDK, 명령줄 도구 및 기타 AWS 서비스를 통해 수행되는 AWS 계정 활동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가능
- CloudTrail 콘솔에서 어떤 열이 표시되는지를 선택하여 이벤트 기록 보기를 사용자 지정가능
추적
- 추적은 Amazon S3 버킷, CloudWatch Logs 및 CloudWatch 이벤트에 CloudTrail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
- 추적을 사용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CloudTrail 이벤트를 필터링하고, AWS KMS 키로 CloudTrail 이벤트 로그 파일을 암호화하며, 로그 파일 제공을 위해 Amazon SNS 알림을 설정이 가능
조직 추적
- 조직 추적은 조직의 마스터 계정과 모든 멤버 계정의 CloudTrail 이벤트를 동일한 Amazon S3 버킷, CloudWatch Logs 및 CloudWatch 이벤트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
AWS Config
- AWS Config는 AWS 리소스 구성을 측정, 감사 및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
- Config는 AWS 리소스 구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기록하고, 원하는 구성을 기준으로 기록된 구성을 자동으로 평가
AWS OpsWorks
- AWS OpsWorks는 Chef 및 Puppet의 관리형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구성 관리 서비스
- Chef 및 Puppet은 코드를 사용해 서버 구성을 자동화할 수 있게 해주는 자동화 플랫폼
- OpsWorks를 사용하면 Chef 및 Puppet을 통해 Amazon EC2 인스턴스 또는 온프레미스 컴퓨팅 환경 전체에서 서버가 구성, 배포 및 관리되는 방법을 자동가 가능
AWS Managed Services
- AWS Managed Services(AMS)는 안전하고 규정을 준수하는 AWS Landing Zone을 제공하고 고객 대신 AWS를 운영하는 서비스
- AWS Managed Services는 인프라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모범 사례를 구현하여 운영 오버헤드와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
- AWS Managed Services는 변경 요청, 모니터링, 패치 관리, 보안, 백업 서비스 등과 같은 일반적인 활동을 자동화하고 인프라를 프로비저닝, 운영 및 지원하기 위한 전체 수명 주기 서비스를 제공
Landing Zone
- 검증된 엔터프라이즈 운영 모델이자 지속적인 비용 최적화 및 일상적인 인프라 관리 수단
AWS Service Catalog
- AWS Service Catalog를 사용하는 조직은 AWS에서 사용이 승인된 IT 서비스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서비스
- 서비스에는 가상 머신 이미지, 서버,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멀티 티어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완성하는 모든 서비스가 포함
- AWS Service Catalog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배포된 IT 서비스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고 일관된 거버넌스를 달성하고 규정 준수 요건을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승인된 IT 서비스만을 신속하게 배포가능
AWS Service Catalog의 핵심개념
- Service Catalog
- 서비스 카탈로그는 하나의 AWS account에 종속됩니다. 관리자가 관리하며 하나 이상의 포트폴리오(Portfolios)를 포함
- Administrtor
- 관리자는 서비스 카탈로그 안에 있는 프로덕트 포트폴리오(Portfolios of Products)를 업로드하고 관리
- User
- 사용자는 서비스 카탈로그의 포털페이지를 접속하여 여러 포트폴리오를 찾아보고, 관심있는 프로덕트를 선택
- Portal
- 포탈은 서비스 카탈로그의 창문(View)인데요, 특정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와 제품만 보여주도록 맞춤제작 가능
- Portfolio
- 포트폴리오란 서비스 카탈로그 아래 버전관리 중인 프로덕트들의 모음
- Product
- 프로덕트는 AWS리소스들의 모음 ( EC2 인스턴스, 애플리케이션 서버, 데이타베이스 )들로 이 단위 별로 프로덕트를 런치하고 관리
AWS TrustedAdvisor
- AWS Trusted Advisor는 AWS 모범 사례에 따라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실시간 지침을 제공하는 온라인 도구
AWS TrustedAdvisro의 분석 카테고리
마지막 수정일자